주식코인

[미국주식] 팔란티어(PLTR) 주가 신고가 돌파 후 급락 우려?

제로콜라먹는사람 2025. 6. 22. 19:58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개발자이자 투자자인 이콜(이곳을콜라)입니다.

 

최근 토스증권에서 흥미로운 종목을 발견했어요. **팰런티어(PLTR)**라는 나스닥 상장 기업인데, 개발자이자 투자자로서 정말 복잡한 감정이 드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더라고요. 6월 16일 $141.41 신고가를 찍었다가 조정받는 모습을 보니 정말 어려운 종목이에요.

 

🏢 팰런티어가 뭐하는 회사인가?

빅데이터 분석과 AI의 완벽한 조합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 본사를 둔 2003년 설립 기업으로, 나스닥에서 거래되고 있어요. 사업 모델이 정말 흥미로운데

 

 

1. 정부·국방 데이터 분석 (Gotham)

  • 일반적인 IT 기업과 달리 정부 전용 플랫폼에 집중
  • CIA, NSA, 국방부와 장기 계약 다수 보유
  • 채굴 단가가 아니라 데이터 분석 단가로 수익 창출

 

2. 민간 기업용 데이터 플랫폼 (Foundry)

  • 최근 AIP(AI Platform) 확보에 적극적
  • AI 붐에 맞춰 엔터프라이즈 AI 솔루션으로 다각화

개발자 입장에서 보면 "정부 계약 + 민간 AI" 조합이 정말 똑똑한 전략이라고 생각해요. 둘 다 고급 데이터 분석 기술이 필요하니까 시너지가 클 거거든요.

 

📊 최근 실적이 정말 인상적이에요

 

2024년 Q1 실적

항목수치전년 대비

매출 $634M +21%
정부 매출 $335M +16%
상업 매출 $299M +27%
고객 수 497개 +42%

 

재무 구조는 좀 복잡해요

  • 현금 보유 약 $4B
  • 매출 증가율 꾸준하지만 둔화
  • 손실 지속 중 (아직 흑자 전환 못함)

솔직히 성장률은 좋은데 수익성이 아직 안 나오는 게 좀 아쉬워요.

 

🚀 왜 이 회사가 매력적인가?

개발자 관점에서 본 핵심 경쟁력

1. 이중 성장 동력

  • 정부 계약: 안정적인 기본 수익원 (국방, 정보기관)
  • 상업용 AI: 폭발적 성장 잠재력 (AIP 플랫폼)
  • 두 사업 모두 고급 데이터 분석 기반이라 기술 시너지 극대화

2. 독점적 지위

  • 정부 보안 승인 절차로 진입장벽 극대화
  • 10년 이상 축적된 데이터 통합 노하우
  • 대체 불가능한 도메인 전문성

3. AI 사업 확장성

  • 분기 상업 매출 27% 증가
  • AIP 플랫폼으로 엔터프라이즈 AI 시장 공략
  • No-code/Low-code로 접근성 극대화

📈 기관들의 평가는 갈렸어요

주요 증권사들의 시각:

  • Loop Capital은 목표가 $155로 상향하며 "runaway freight train" 표현
  • Morgan Stanley, Goldman Sachs 등은 여전히 신중한 입장
  • 현재 P/E 237배 (선행), 600배 (후행)로 극단적 밸류에이션

⚠️ 리스크가 정말 많아요

 

주의해야 할 점들:

  • 말도 안 되는 밸류에이션: P/E 600배는 정말 부담스러워요
  • 내부자 매도 증가: 6월 중순 수백만 달러 어치 매도
  • 수익성 부재: 아직도 적자 지속 중
  • 고객 집중도: 정부 의존도가 여전히 높음

🎯 투자 관점에서의 매력도

왜 지금 고민하고 있을까요?

장점:

  • 독점적 기술력: 정부·민간 양쪽에서 검증된 플랫폼
  • 탄탄한 현금 보유: $4B 현금으로 성장 투자 가능
  • AI 트렌드 수혜: AIP 플랫폼의 확산 가능성
  • 장기 계약: 정부 계약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

고려사항:

  • 극단적 밸류에이션: 현재 주가는 너무 많은 기대치 반영
  • 수익성 개선 속도: 언제 흑자 전환할지 불투명
  • 경쟁 심화: 빅테크들도 정부 계약 시장 진출 중

💭 개인적인 생각

솔직히 정말 어려운 종목이에요.

기술력은 인정하지만 밸류에이션이 너무 부담스러워요. 특히 P/E 600배라는 숫자는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정당화하기 어려운 수준이거든요.

내부자 매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신호도 신경 쓰이고요. 회사를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팔기 시작했다는 건, 현재 주가 수준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것 같아요.

다만 기술적으로는 정말 탄탄한 회사예요. 특히 정부 계약 기반의 안정성과 AI 확장성은 장기적으로 매력적이거든요.

 

현재 생각하는 전략

  • 20-30% 조정 후 분할 매수 검토
  • 전체 포트폴리오 5% 이내 비중으로 제한
  • 실적 발표 때마다 수익성 개선 추이 모니터링
  • 내부자 거래 지속 관찰

앞으로 주목할 포인트들

  • Q2 실적 발표 (8월 예정)
  • AIP 플랫폼 상업화 속도
  • 정부 계약 갱신 현황
  • 수익성 개선 로드맵

기술력은 확실하니까 타이밍만 잘 맞추면 여전히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지금 당장은 좀 더 지켜보는 게 나을 것 같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