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콜라입니다
[RESTful API] REST API란 무엇인가?
1.REST란? REST란,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이미지, 동영상, DB 자원)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하는 것으로,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2. RESTful API 이러한 REST의 형식을 따르는 시스템을 RESFful 하다 라고 부를 수 있으며 이러한 HTTP URI 와 HTTP Method(Get, Post, ...)를 통해서 해당 요청의 REST 형식을 따르는 API를 말합니다. 3. RESTful API 구현하기 URL을 통한 자원의 표현 방법 과, HTTP method를 통한 API 동작의 정의 정도만 사용해도 훌륭한 REST API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1. URL 표현법 REST API URL의 자원은 복수형으로 표현됩니다..
[JavaScript] 프로토타입(Prototype), 클래스(Class)
01. 프로토타입 1.1 프로토타입이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동일한 타입의 객체이지만 속성 또는 메소드가 조금씩 다른 객체를 생성하는 경우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지 않으면 각각의 객체들이 속성, 메소드를 개별생성, 개별소유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중복된 코드가 발생하고 메모리의 낭비, 퍼포먼스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Prototype 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생성자함수의 Prototype을 정해주게 되면 동일한 속성, 메서드를 각각의 객체들이 참조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2 객체의 프로토타입에 접근, 변경 하기 1.2.1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접근하기 객체의 프토토타입에 직접 접근할 수는 없지만 __proto__ 접근..
[JavaScript] var, let, const의 비교(+ 블록레벨 스코프)
01. var 키워드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 var 키워드는 중복선언을 허용한다. (기존에 의도와 다르게 변수값이 다르게 할당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var 키워드는 함수 레벨 스코프만을 허용한다. (함수를 제외한 다른 문에서 선언된 함수는 모두 전역함수가 된다. 전역변수의 남발) var 키워드는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undefined로 초기화 된다. 02. let 키워드 let 키워드는 동일한 스코프범위내에서 중복선언을 금지한다. (문법에러(SyntaxError)가 발생한다.) function을 포함한 모든 문의 코드블록({}) 을 지역스코프로 인정한다. let은 선언단계와 초기화단계가 구분되어 진행됨으로 _선언단계 후 초기화단계전 까지는 변수를 참조할 수 없는 구간_이 생긴다. 이 구간을 일시..